이슈들

할로윈 축제에 대해

2번손님 2023. 9. 25. 10:57
반응형

할로윈 축제. 영미권의 전통적인 기념일로 축제날은 매년 10월 31일 입니다. 악마나 괴물, 마녀등의 코스튬을 하고 모임과 파티를 즐기는 축제입니다. 서양권에서 유래된 이 기념일은 이제 우리나라에도 참여하고 즐기는 사람들이 많으며 크리스마스와는 달리 휴일로 지정되지는 않았습니다. 할로윈(Halloween)의 [ Hallow ] 는 성인(Saint)을 뜻하는데 11월 1일인 만성절 ( 모든 성인들의 대축제 , All Hallow's Day ) 전야제 라는 의미의  [ All Hallows' Even ] 이 변형되어 Halloween 이 되었습니다. 전야제를 뜻하는 이브( Eve )를 스코틀랜드에서는 even이라고 합니다. 캐나다에서는 Hallowe'en 이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1. 유래

가장 유력하고 널리 알려진 설은 고대 켈트족이 죽음과 유령을 찬양하며 벌인 서우인(Samhain)축제에서 비롯다는 설입니다. 켈트인들은 1년이 12달이 아닌 10달로 이루어진 달력을 사용했고 한 해를 딱 4개의 기념일로 구분했다. 4개의 기념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한 해의 마지막이자 새해의 시작인 10 31일의 서우인 축제였다. 11월 초순은 추분과 동지의 한가운데 즈음이기 때문에 겨울이 시작되는 때로 인식하였다. 서양만이 아니라 동양을 보아도, 24절기 중 입동이 11 7일쯤에 온다. 그러한 이치로 로마에서도 11 1일부터 겨울이라고 생각했다. 이 서우인 축제가 이후 서양의 그리스도교 문화에 의해 기독교화되었다는 것이 정설. 독어권의 축제인 발푸르기스의 밤도 할로윈과 비슷하게 켈트족의 봄 축제인 발타네(Beltane)에서 비롯됐다는 것이 정설로 여겨져서 사실상 켈트족의 축제가 게르만족에게 수용되고, 이후 기독교적 의미가 붙게 된 것으로 보면 된다. 일부는 켈트족의 고대문화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고 처음부터 그리스도교 문화의 축제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2. 특징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할로윈 축제는 서양 문화권에서 크게 중요한 기념일은 아닙니다. 유럽을 비롯한 서구권에서는 할로윈을 기념하지 않으며, 할로윈 문화의 시작으로 보이는 미국에서 조차 할로윈은 공휴일이 아닐 정도로 비중이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특이한 코스튬을 하며 파티를 즐긴다는 특징이 특이하고 매력적으로 받아 들여졌다고 보여집니다.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Trick or Treat 라고 불리는 아이들의 행동입니다. 할로윈 날에 아이들은 여러가지 분장을 하고 이웃들의 집을 돌아다니며 " Trick or Treat " 이라고 외칩니다. 뜻은 간식을 주지 않으면 장난 치겠다 라는 뜻으로 이렇게 외친 아이들에게 이웃집에서는 사탕을 나누어주는 전통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아무 집에서나 준비를 해두지 않는다는 걸 아이들도 알기 때문에, 외등이 켜져 있고 문 앞에 각종 장식들이 꾸며져 있는 집들만 찾아다니며 초인종을 누른다. 이 말인즉 집 주인의 입장에서 아이들이 찾아오도록 하고 싶으면 우선 사탕들을 여러 종류 구입한 다음 현관 앞 외등을 켜 놓고 호박을 썰어 문앞에 두거나 장식을 약간 해주면 되며, 정원부터 집 전체를 으시시한 유령의 집으로 거창하게 꾸며놓는 집들도 많습니다. 이렇듯 할로윈은 아이들의 축제라는 인식이 강하며 넓은 의미로 젊은 세대들까지도 깊게 참여하는 편입니다.

3. 현재

현재에는 할로윈 축제가 기념일의 모습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축제로 남고 있는 모습입니다. 축제에 참가하는 인원 보다는 미디어나 각종 상업시설에서 더 이용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할로윈 축제에는 실제 매출이 많이 증가하고 테마파크등에서의 인원도 급격하게 늘기때문에 할로윈 기념 상품들이나 코스튬, 장난감등 다양한 물건들이 많이 팔린다고 합니다. 2022년 10월 29일 우리나라 할로윈 축제의 대표적인 장소인 이태원에 할로윈 축제를 즐기기 위해 10만여명의 인파가 몰렸고 결국 안타까운 참사인 이태원 압사 사고가 터졌습니다. 그로 인해 대부분의 행사는 취소 되고 전국적인 애도의 기간을 가졌었습니다. 올해에는 참사 1주년인 만큼 테마파크나 여러 상가에서 할로윈의 축제를 즐기는 모습 보다는 할로윈을 대체하는 마법학교 컨셉이나 추수감사절을 모티브로 하는 행사를 진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가까운 일본에서도 할로윈은 대형 이벤트날이 되어 이미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튬 플레이를 즐기는 일본의 문화와 맞아 떨어지며 우리나라보다 더욱 할로윈이 퍼져있습니다. 일본에서도 할로윈 당일날에는 젊은층이 많이 모이는 시부야는 교통이 마비될 정도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4. 잭 오 랜턴

할로윈을 대표하는 상징물인 [ 잭 오 랜턴 ]은 호박을 눈 코 입 모양으로 구멍을 뚫어서 유령 모양으로 만들어 놓은 등불입니다. 잭 오 랜턴의 기원은 옛날 영국 혹은 아일랜드에 잭(Jack)이라는 악덕 구두쇠가 있었다. 이 교활한 사내는 남을 골탕 먹이는 것을 즐겼는데 어느 날 죽을 때가 되어 악마가 영혼을 거두러 오자 악마에게 시비를 걸어 악마를 동전으로 변하게 한 뒤 십자가가 들어 있는 주머니에 재빨리 집어 넣은 상태로 악마를 협박해 10년 더 살 수 있게 되었다. 10년 뒤 악마가 다시 찾아오자 악마 보고 '나무에 올라가서 과일 좀 갖다줘라'고 한 뒤 악마가 나무에 올라가자 재빠르게 십자가를 그어 악마가 내려오지 못하게 골탕 먹였다. 그 후 또 협박을 해 천수를 누리다가 죽었는데 생전에 악행 때문에 천국에서 쫓겨나고 악마에게도 미움 받아서 지옥에도 가지 못하고 영원히 현세를 떠돌다가 너무 추운 나머지 악마에게 사정해 얻은 숯불을 순무에 넣고 랜턴 겸 난로로 썼다고 한다. 즉 원래는 순무에 숯을 넣은 것인데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호박으로 바뀌었다는 설이 대표적입니다. 우리나라에 많이 나는 늙은 호박과는 달리 미국의 호박은 겉이 연한 품종이라 칼로 파내 조각하기가 쉽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