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들

미국에서 난리난 비만치료제 위고비란?

2번손님 2023. 10. 8. 13:26
반응형

킴카다시안, 일론머스크등 유명인들의 투약으로 유명해진 미국에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비만치료제가 있습니다. 바로 위고비 라는 제품입니다. 그동안 널리 쓰였던 삭센다(리라글루티드) 대비 확연한 체중감소 차이를 보였기에 약효가 검증되어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현재 물량이 없어서 DIY하거나 직구를 하려는 사람도 많을 정도 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위고비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위고비란?

위고비는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 노디스크에서 개발한 비만 치료제 입니다. 노보 노디스크는 그 전에도 삭센다라는 비만 치료제를 개발 및 공급하여 유명해진 회사로 인슐린 제조 회사로도 유명합니다. 위고비는 펜 모양으로 된 주사 형태의 약으로 일주일에 한 번 배나 허벅지에 직접 주사하는 방식입니다. 위고비는 비만치료제로 내분비계에 개입하는 전문의약품의 상표명입니다. 성분은 세마글루티드이며 우리나라에는 2023년 4월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 되었습니다. 위고비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 1(GLP-1) 계열 수용체 작용제로 임상실험에서 효과가 뛰어나 유명해졌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은 삭센다와 큐시미아(펜터민/토피라메이트)가 양분하고 있으나 위고비의 등장으로 상황은 많이 바뀔것 같습니다.

 

2. 위고비의 효능

위고비는 임상 결과에 따르면, 위고비는 68주간 투여 시 평균 15%의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56주간 투여 시 평균 8% 감량 효과를 보인 삭센다 대비 우월한 수치입니다. 또한 당뇨병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개발 당시 당뇨 치료제로 개발 하다 체중감량 효과가 뛰어나 비만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던 삭센다와 마찬가지로 위고비의 성분 또한 당뇨 치료및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위고비는 초기 체질량지수(BMI)가 30kg/m²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한 가지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질환 [ 예: 이상 혈당증(당뇨병 전단계 또는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 또는 심혈관 질환] 이 있으면서 초기 체질량지수(BMI)가 27kg/m² 이상 30kg/m² 미만인 과체중 환자에게만 투약이 허가 되었습니다. 

 

 

3. 위고비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흔한 부작용으로는 구토, 설사, 변비, 복통과 같은 위장관 장애가 있습니다. 또한 두통이나 피료감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저혈당증과 당뇨병성 망막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고 위염, 위식도 역류성 질환, 소화불량, 탈모, 담석증의 부작용이 관찰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추가적으로 췌장염이 관찰 될 수도 있어서 췌장염이 의심되면 투여를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 갑상선 질환자에게는 처방이 제할 될 수도 있다고 하니 정확한 처방과 안내를 위해 의사 방문 및 상담이 필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아이슬란드 의약품청에서 삭센다와 위고비 모두가 '자살충동'과 '자해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부작용 개연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위험성을 추가 평가 및 검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4. 마무리

마운자로

현재 국내에서는 허가는 받은 상태이지만 아직 노보 노디스크에서 국내에 정식 출시를 하지 않아 위고비의 처방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아 국내에서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처방이 가능한 외국에서도 현재는 물량이 부족하여 쉽게 구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가격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미국에서 위고비 1달 처방 비용은 $1,349 로 우리나라 돈으로 약 180만원에 해당됩니다. 1년간 투약한다면 무려 $16,000 우리나라 돈으로 약 2100만원에 해당할 정도고 고가입니다. 삭센다가 보통 한달에 $40~50 (약 50~60만원)인것에 비하면 가격이 많이 비쌀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 삭센다가 8~15만원으로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니 실제 위고비가 우리나라에 출시 한다면 미국보다는 저렴할 것으로 예상되나 그래도 많이 비쌀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위고비보다 더욱 효가가 좋다는 마운자로가 출시되고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비만치료제가 개발 되고 있는 만큼 당장 위고비를 투약받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는 좀 더 추이를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국내 출시가 빨리 이뤄지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반응형